
AI로 실사 캐릭터 그림을 그릴 때 발생하는 단점과 사람이 직접 그릴 때의 장점을 비교해서 정리.
1. 해부학적 오류 vs. 해부학적 이해
AI 단점:
- AI는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생성하지만, 해부학적 이해 없이 픽셀을 배치하기 때문에 손가락 개수, 관절 위치, 근육 연결 등이 어색할 수 있음.
- 특히 손, 발, 얼굴 비율에서 왜곡이 자주 발생함.
사람의 장점:
- 전문적인 지식을 활용해 해부학적으로 자연스러운 캐릭터를 그릴 수 있음.
- 인체 구조를 이해한 상태에서 의도적으로 변형하거나 스타일을 조절 가능.
2. 감정 표현 부족 vs. 감정과 개성 표현 가능
AI 단점:
- 표정이 어색하거나 부자연스럽고, 감정이 미묘하게 전달되지 않을 때가 많음.
- 눈빛이 흐리거나 무표정한 느낌이 남는 경우가 많음.
사람의 장점:
- 감정을 강조하거나 감성적인 분위기를 세밀하게 조절 가능.
- 캐릭터의 성격이나 개성을 담아내는 디테일을 직접 추가할 수 있음.
3. 디자인 창의성 부족 vs. 창의적인 아이디어 적용 가능
AI 단점:
- 기존 학습된 데이터를 조합하는 방식이라 완전히 새로운 스타일이나 독창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내기 어려움.
- 특정 스타일에서 벗어나기 어렵고, 비슷한 결과물이 반복됨.
사람의 장점:
- 기획 의도나 특정 세계관을 반영해 창의적인 캐릭터 디자인이 가능함.
- 새로운 트렌드나 개인적인 경험을 반영한 개성적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음.
4. 디테일 제어 부족 vs. 세부적인 조정 가능
AI 단점:
- 디테일을 추가하려 해도 원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조정하기 어려움.
- 같은 프롬프트를 입력해도 디테일이 다르게 나와서 일관성을 유지하기 힘듦.
사람의 장점:
- 원하는 질감, 조명, 소품 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.
- 의도한 스타일이나 분위기에 맞춰 세부적인 묘사를 할 수 있음.
5. 작업 의도 반영 어려움 vs. 컨셉의 명확한 전달
AI 단점:
- 프롬프트로 원하는 분위기나 메시지를 100% 반영하기 어렵고, 애매한 결과물이 나올 가능성이 높음.
- 사용자의 컨셉과 AI의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.
사람의 장점:
-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반영하여 원하는 컨셉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음.
- 이야기나 세계관을 고려한 구도를 직접 설계할 수 있음.
6. 일관성 부족 vs. 스타일 통일 가능
AI 단점:
- 같은 캐릭터라도 매번 얼굴이 다르게 생성될 수 있어 통일성이 부족함.
- 한 작품에서 여러 장의 일러스트를 제작할 때 스타일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음.
사람의 장점:
- 동일한 캐릭터를 여러 장 그려도 일관된 외형과 스타일을 유지 가능.
- 색감, 조명, 질감 등 통일성을 유지하며 작품을 완성할 수 있음.
결론
AI는 빠르게 실사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지만, 여전히 해부학적 오류, 감정 표현 부족, 창의성 제한 등의 단점이 있음. 반면, 사람은 감정을 담아내고 세밀한 조정을 할 수 있으며, 작품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음.
AI는 보조 도구로 활용하고, 중요한 디자인 작업이나 최종 마무리는 사람이 직접 하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일 것임! 😊
'게임컨셉아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크로키의 장단점 (0) | 2025.03.21 |
---|---|
내가 그리는 그림의 방향성이 맞는 것일까 의심스럽다면? (0) | 2025.03.21 |
합격하는 포트폴리오 구성 (0) | 2025.03.02 |
캐릭터 컨셉 설정 가이드 (0) | 2025.02.27 |
게임 캐릭터 컨셉 시트를 만들 때 주의해야 할 점 (0) | 2025.02.26 |